교육행정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개정사항 안내(2024.7.2. 시행)

신월농부 2024. 7. 3. 10:04
국가공무원 복무규정개정사항 안내(2024.7.2. 시행)

 

개정 목적

육아시간 제도 대상 및 기간, 저연차 공무원 연가일수 확대 등 공무원 복무제도개선하여 공무원 업무집중 여건 및 일육아 병행 가능가정친화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 관계부처 협의 : '24.04.09.04.19, 입법예고 : '24.04.09.5.20.

교육공무원 적용 주요 내용

아시간 대상 및 기간 확대(안 제20조제5항 및 별표3)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36개월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육아시간의 대상 및 기간을 확대

현 행 개 선
(대상) 5세이하 자녀
(기간) 24개월간
(대상) 8세 또는 초2 이하 자녀
(기간) 36개월간

* 교육공무원의 육아시간 사용 기준 및 절차 등에 대해서는 수업 등 학교교육과정 운영에 지장이 없는 범위, 자녀를 돌보는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국가공무원 복무징계 관련 예규에 반영 협의 예정

직기간 1년 이상 4년 미만 공무원 연가일수 확대(안 제15조제1)

사용대상
  9세가 되는 날(생일)의 전날 또는 초등학교 3학년이 되는 날(해당 학년 3 1) 전날 두 가지 요건 중 하나만 충족해도 사용 가능

------------------------------------------------------------------------------------------------------------------ 
구분            만 8세 이하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사용기한     만 9세가 되는 날(생일) 전날           초등학교 3하년이 되는 날
                                                                            (해당 학년 3월 1일)의 전날
증명방법     출생증명서 또는 주민등록 등본     재학증명서 
------------------------------------------------------------------------------------------------------------------- 

(질의)  10세 자녀가 현재 초등 2학년인 경우 육아시간 사용 가능한지?
 (답변) 가능함 (초등 3학년이 되는 날(해당 학년 3 1)의 전날까지 사용가능)

사용기간
 시행일(2024.7.2.) 이후 36개월에서 종전에 이미 사용한 육아시간 만큼을 뺀 기간만큼 사용가능

    개정 전 기사용기간                          개정 후 사용가능 기간
    24개월 모두 사용                             36개월 - 24개월 = 12개월
    24개월 미만 사용                             36개월 -(개정 전 사용 기간) = 잔여 기간
    미사용                                              36개월

(질의) 현재 자녀가 만 7세이고 육아시간을 종전에 이미 19개월 사용한 경우, 시행일(‘24.7.2.) 이후 육아시간 사용 가능 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답변) 시행일 이후 확대된 36개월에서 기존 사용한 기간 19개월 차감하고 남은 17개월을 8세 또는 초2 이하까지 추가 사용 가능

- 저연차 공무원사기진작 휴식권 보장을 위해 연가일수 확대

현 행 개 선

1년 이상 2년 미만        12
2년 이상 3년 미만        14
3년 이상 4년 미만        15


1년 이상 2년 미만     15
2년 이상 3년 미만     15
3년 이상 4년 미만      16


 

 시행일(2024.7.2.) 부터 개인별 재직기간 따라 연가일수가 추가 부여
 만약 시행일 이전에 내년도 연가일수를 당겨쓴 경우 해당 일수 만큼 내년도 연가일수에서 차감하고, 이번 개정으로 추가 부여되는 연가일수는 이와 별개로 시행일 이후 추가 부여됨

가족돌봄휴가 유급일수 확대(안 제20조제15)

- 종전 최대 3이던 유급일수를 자녀수에 비례하여 부여하도록 확대

장애인인 자녀가 있거나, 한부모가정은 1일 추가 부여

현 행 개 선
자녀돌봄 시 2(다자녀는 3) 자녀수 + 1

 자녀(어린이집, 유치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 미성년인 자녀, 장애인인 자녀) 돌보기 위한 경우 자녀 수에 1을 더한 일수의 범위(연간 최대 10)에서 유급으로 사용 가능

--------------------------------------------------------------------------------------------------------------- 
구분     자녀 1명        자녀 2명     자녀 3명        ........ 자녀 9명               비고
현행        2일                  3일               3일                      3일                   고정
개정        2일                  3일               4일                     10일           1자녀 1일 추가
---------------------------------------------------------------------------------------------------------------- 

 장애인인 자녀가 있거나 한부모 공무원은 유급 1일을 추가 사용 가능
 사례1) 미성년 자녀가 2명인 한부모 공무원 : 유급휴가 최대 4
 사례2) 미성년 자녀 4명 중 장애인 자녀가 있는 공무원 : 유급휴가 최대 6

·자매 사망 시 경조사휴가 확대(안 제20조제1항 관련 별표 2)

-형제자매 사망 시 경조사 참여를 위해 부여하는 휴가일수를 3일로 확대

현 행 개 선
1부여 3 부여

 (질의) 2024.7.1.에 형제자매가 사망한 경우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변) 국가공무원 복무징계 관련 예규에 따라 사망으로 인한 경조사 휴가의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사망일 또는 장례일) 또는 사망일 다음날부터 휴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7.2.에 경조사 휴가를 신청하면 3일 부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