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직 중에 있는 자는 6개월마다 소재지와 휴직사유의 계속여부를 소속기관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소속기관의 장은 휴직자의 실태를 항상 파악하고 필요시 이에 대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 바, 교육공무원 휴직 및 복직업무 처리요령 등에 따라 휴직 기간에 대해 그 실태를 정기 또는 수시로 점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휴직자 복무상황 신고서(휴직자용 / 반기말(6월30일, 12월 31일) 15일전까지 소속기관에 제출)
휴직자 실태 보고서(제26조 관련) | |
1. 소 속 | ○○○○○○ |
2. 직 위(급) | ○○○ |
3. 성 명(생년월일) | 김 ○ ○ (1900년 0월 0일생) |
4. 휴직종류 | 질병휴직/ 육아휴직/ 유학휴직/ 가족돌봄휴직 등 |
5. 휴직기간 | 20 . . . ~ 20 . . . (0년0월) |
6. 주소(소재지) | |
7. 연락처 | |
8. 휴직 사유 계속 여부 | □ 계속됨, □ 계속되지 않음 ※ (계속되지 않을 시) 휴직기간 만료일 이전 휴직사유 소멸 또는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 |
9. 기타 | ▸해외체류 여부(□해당됨, □해당 없음) - 휴직 목적상 해외거주 필수(유학휴직, 해외동반휴직, 고용휴직(국제기구·외국기관·재외교육기관)가 아닌 경우 사유 기재 ▸휴직자의 복무상황 - 휴직기간 중 본인의 복무상황을 기재하고, 추후 휴직 연장, 조기 복직 계획, 복직예정일 등을 작성 - 영리행위의 금지 등 휴직 목적을 위배하지 않고, 휴직목적 달성에 충실히 임하는 지 등에 대한 복무사항을 구체적으로 기재 |
10. 첨부서류 | ex) 질병휴직자: 진료, 치료중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병역휴직자: 입대증명서, 군복무 확인서 불임·난임휴직자: 진료확인서 또는 통원확인서(필수) |
년 월 일 휴직자 성명 (인) 00학교장 귀하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위직 대상 맞춤형 별도 교육 실시 근거 (0) | 2024.04.01 |
---|---|
학교운영위원회(유치원 포함) 위원 결격사유 조회 (0) | 2024.03.29 |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및 선거관여행위 금지 안내 (0) | 2024.03.19 |
저출산 고령사회기본법의 경제적 부담의 경감 (0) | 2024.03.15 |
국회의원선거에 투·개표 사무인력 지원 등 선거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교육공무원(교원)의 복무 (0) | 2024.03.13 |